목록UBuntu (3)
A.I
로컬의 Git에 GitHub의 계정 정보 등록하기 $ 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[my-email@gmail.com](mailto:my-email@gmail.com)" $ 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my-username" Git config 정보 알아보기 $ git config -l 내 컴퓨터에 로컬 저장소 만들기 $ cd ~ $ mkdir workplace Git으로 버전 관리 시작하기 $ cd workplace $ git init ReadMe 파일생성하기 $ echo "# first-repository" >> README.md \--> 파일 안에 first-repository라고 내용이 있는 파일을 생성하겠다는 뜻 $ cat README.md..
1. install : 새로운 패키지를 설치. 사용방법: sudo apt-get install 패키지명 2. remove : 설치된 패키지를 제거. *주의 : 패키지 관련 데이터는 삭제되지 않음. 사용방법: sudo apt-get remove 패키지명 3. purge : 패키지와 관련 데이터를 모두 삭제 사용방법: sudo apt-get purge 패키지명 4. --reinstall install : 패키지를 재설치. 설치된 패키지에 문제가 있을때 사용하면 유용 사용방법: sudo apt-get --reinstall install 패키지명 5. clean : 패키지 설치를 위해 다운받은 데이터 삭제. 주기적인 사용 권장. 사용방법: sudo apt-get clean 6. autoremove : 필요없는 ..

whoami - 컴퓨터 유저 이름 출력 pwd - 터미널에서 현재 위치해있는 경로 rm -r - 디렉토리의 경우 하위까지 반복하여 모두 삭제 mv 디렉토리명 옮길장소 - 옮길 장소로 디렉토리 이동 which - 위치찾기 ls -al - 숨김파일까지 표시하여 상세하게 출력 위와 같이 8개의 항목으로 잘라진다. 앞에서부터 순서대로 알아보자. 먼저 맨 앞의 '-'는 파일 유형이다. 해당 파일이 어떤 종류의 파일인지를 알 수 있다. '-'는 일반 파일, 'd'는 디렉터리, 'b'는 블록 디바이스, 'c'는 문자 디바이스, 'l'은 링크를 뜻한다. 두번째로 오는 'rw-r--r--'는 파일 허가권을 뜻한다. 세번째 '1' 은 링크의 수이다. 네번째 'root'는 해당 파일에 대한 소유권을 가진 소유 사용자의 이름..